조현병
조현병이란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광범위한 임상적 이상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모습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조현병은 뇌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뇌 질환, 뇌 장애로 유병률은 인구의 1%로 (100명 중에 1명이 걸릴 수 있는) 비교적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흔한 질병이며 사회 계층이나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발생합니다.
조현병의 원인
- 과학의 발달로 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밝혀진 원인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조현병의 원인
원인 |
세부내용 |
유전 |
가족 혹은 혈연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유일한 원인은 아니며 이외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요인이 모두 갖추어야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
뇌의 생화학적 이상 |
뇌 안에는 여러 가지의 신경전달물질이 있습니다. 이 물질이 사람의 생각, 감정, 지각, 행동 등을 조절합니다. 그런데 환자의 뇌에는 이들 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 “세로토닌” 등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뇌의 구조적 이상 |
뇌의 한 부분인 변연계, 전두엽, 기저핵 등의 모양 및 기능에 이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뇌피질의 위축, 소뇌의 위축 등을 보이는 경우도 조현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
신경발달의 이상 |
임신 중, 그리고 출생 후 신경세포들의 발달에 이상이 있는 경우, 조현병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
심리적 요인 |
스트레스 등은 조현병에 영향을 끼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
조현병의 증상
- 양성증상
- 겉으로 보기에는 기괴하고 심각해 보이지만 음성증상에 비하면 약물치료에 의해 비교적 빨리 좋아지는 증상
-
조현병의 양성증상
|
세부내용 |
환각 |
- 다른 사람들은 보거나, 듣거나, 맛보거나, 만지거나, 맡을 수 없는 감각을 생생하게 경험하는 것
- 잘못 보거나 잘못 듣는 착각과는 달리 아예 없는 소리나 물체를 듣고, 보고, 느끼는 것이 환각
- 조현병에서는 소리를 듣는 환청이 가장 흔히 나타남
- 환청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환청에 귀를 기울이고 환청과 대화를 하는 경우도 많아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혼잣말을 중얼거리기도 함
|
망상 |
- 주위의 어떤 말에도 흔들리지 않는 이해할 수 없는 믿음
- 이 믿음은 과학적 설명이나 근거 제시, 설득으로도 망상을 바로잡기가 어려움
- 특히, 조현병 환자의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괴이한 경우가 많은데, 다른 사람이 감시를 한다거나 위험에 빠뜨리기 위해 계획적으로 움직인다고 믿는 피해망상을 가장 많이 경험
- 또한, 망상은 일종의 믿음의 체계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사고, 감정, 행동의 변화가 나타남
|
사고장애 |
- 조현병 환자는 비논리적인 순서로 생각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묻는 말에 엉뚱하게 대답하는 상관성의 결여나 앞뒤 연결이 되지 않고 조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일관성의 결여
|
기타 |
- 한 가지 자세만을 계속 유지하는 긴장증적 증상
- 아주 극단적인경우 의미가 없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반대로 동상처럼 움직이지 않고 반응이 없는 경우
|
- 음성증상
- 정상적인 감정반응이나 행동이 감소하여 둔한 상태가 되고, 사고 내용이 빈곤해지며 의욕 감퇴, 사회적 위축 등을 보이는 현상
- 일상적인 생활, 상황에 적절한 옷차림, 수면관리, 적절한 식사 예절, 위생상태 등이 어려워짐
조현병의 치료
- 약물치료
- 조현병 환자의 재입원을 낮추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약물치료입니다.
- 약물은 환자의 증상을 경감, 해소시키는 등 양성증상에 특히 효과적이지만 이것이 완전한 치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심리사회적 치료
- 급성기의 증상이 호전된 후, 많은 조현병 환자들은 직업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겪습니다.
- 이때, 심리사회적 치료는 그들이 가진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 재활 치료
- 지역사회에서 보다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직업적 훈련을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교육 및 상담, 의사소통 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가족교육, 기타 재활치료 등이 있습니다.
-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낮병원 등의 여러 기관에서 재활치료가 진행 중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서울시 정신건강브랜드 ‘블루터치’의 사전승인을 통해 재이용하였습니다.